글목록

2014. 2. 1.

산으로 가는 와인 시음 알마비바

칠레 프리미엄 와인을 생각하면 항상 상위권에 떠오르는 알마비바(Vina Almaviva)는 1997년 프랑스 무똥 로쉴드의 필리핀 여사(Baroness Philippine Mathilde Camille de Rothschild)와 칠레 콘차이또로(Concha y Toro)의 Eduardo Guilisasti Tagle의 합작사로, 칠레의 토양/기후와 프랑스 무똥의 전통을 결합하여 첫 와인으로 1996 빈티지를 출시하였다 (1997년 합작인데 첫 와인이 1996년이라  이상하지만 알마비바 홈페이지에 그렇다니 뭐).

비교적 접근성이 용이한 콘차이또로의 와인과 에두아르도에 관한 이야기는 다음으로 미루고, 오늘은 언제 마실지, 마실수나 있을지 모를 무똥 로쉴드의 삘리삐네 여사 얘기를 좀 해보려한다. 부유한 은행가 집안 출신으로, 그녀의 아버지 필립 드 로쉴드(Baron Philippe de Rothschild, 1902-1988)는 수십년간의 노력(로비?)으로 무똥(Château Mouton Rothschild)을 보르도 1등급으로 올려놓았고, 캘리포니아의 로버트 몬다비(Robert Mondavi)와 합작하여 오퍼스원을 내놓기도 하였다.

필립의 외동딸 필리핀 여사는 젊은 시절 영화 쉘브르의 우산(Les Paraplueis De Cherbourg)으로 유명한 까뜨린 드뇌브(Catherine Deneuve)와 함께 코메디 프랑세즈(Comédie-Française) 단원 활동을 비롯하여, 무려 30여년이나 연기 활동을 했다는데 관련 사진 자료를 찾을 수가 없다.

필리핀 여사의 연기동료 까뜨린 드뇌브

연극 '배운 여자들'(Les Femmes Savantes)에서
하녀 Martine역을 연기한 필리핀 여사
(Philippine Pascale은 그녀의 배우시절 예명)

필리핀 여사와 연극 '배운 여자들'의 하녀 Martine.

그 자신 연극 배우이기도 하고 오페라의 광팬이기도한 필리핀 여사는 보마르셰(Pierre-Augustin Caron de Beaumarchais, 1732-1799)의 피가로 3부작에 쭉 등장하는 알마비바 백작을 새로운 와이너리의 이름으로 정한다. 3부작 중 피가로의 결혼(La Folle Journée, ou Le Mariage de Figaro)에선 시종 피가로의 기지로 바람 난 알마비바 백작을 가정으로 잘 돌려보낸다고하니, 새로운 알마비바 와이너리는 프랑스의 기술과 칠레의 토양의 결혼이라하면 지나친 억측일까? 또한 피가로 3부작을 통하여 알마비바 백작의 청년-장년-노년이 이어지는데 이는 와인의 숙성을 의미하는게 아닐까(이건 더한 억측)? 사족이지만 보마르셰는 루이15세의 딸들에게 하프를 가르치며 궁정출입을 시작했다는데, 마침 장 프랑소와 뽕떼도 루이15세 시절 메독 총독시절 샤또 뽕떼-까네(Pontet-Canet)를 시작했다고한다. 
  
알마비바의 첫 빈티지 레이블에 적힌 보마르셰의 자필

알마비바 레이블의 원형 문양은 칠레인구 4%를 구성하는 마푸체족(Mapuche)의 제사용 북(kultrun)에서 가져온 것으로, 여성과 사방, 지구와 우주의 운동을 형상화한 것이라 한다.여담으로 1990년대 칠레 민주화 이후 마푸체족의 자치운동이 진행중인듯 하다.

마푸체족의 북 kultrun(cultrun)

산티아고 근처 칠레의 유명한 와인 산지인 Maipo 밸리의 Puente Alto에 위치한 알마비바 와이너리에는 칠레 스타 건축가 Martin Hurtado의 아름다운 건축물이 들어서있다. 나무로 건축된 건물은 오퍼스원에 참여한 엔지니어들이 시공했다고 한다. 참고로 와인 저장 규모는 오퍼스원의 1/10 수준. goo.gl/fsqg8

 알마비바 와이너리

프랑스 AOC와 같은 규제가 없으니 85헥타의 포도밭에는 underground drip irrigation 시스템이 설치되어 포도나무에 최적의 수분을 공급한단다. 수작업으로 수확된 포도는 작은 상자에 담겨 양조장의 이층(Mezzanine)으르 들어올려져, 줄기등의 불순물을 제거한후 중력으로 스테인레스 양조탱크로 이동된다. 각 구획별 스테인레스 통에서 알콜 발효한 후, 매년 100% new french oak에서 16~18개월의 젓산발효를 거쳐, 최종 블렌딩 시 껍질/씨를 압착해 뽑은 프레스 와인을 소량 블렌딩한다.

갓 수확한 포도

2000년까지는 16개월 오크숙성을 했으나 이후엔 보통 18개월 숙성을 하고있다(01,04,06빈은 17개월). 특이하게도 미국(Diageo)과 칠레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보르도 네고시앙을 통해서만 판매된다. Primer Orden(첫 주문?)이라고 자신들을 보르도 Grand Cru와 같은 급으로 생각하고 있나보다.

1996년 첫 와인 출시 이후 매년 꾸준히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알마비바. 03,05빈티지는 WA,WS 모두 95점를 받았다는데, 아쉽게도 06빈 이후만 맛보았음에도 프랑스의 전통과 칠레의 토양의 조화를 음미하는데 부족함은 없었다.

2008 Almaviva, Chile
블랙체리/베리, 우아하고 실키한 탄닌, oriental spice, 허브, 감초, 달콤한 고무, 미네랄,파인. 입안에선 당도/짠맛(플럼?미네랄?)/수렴성. 기분좋은 탄닌의 수렴성이 짧게 남곤 사라지지만 단아한 느낌으로 남는다. 산도 낮고 당도 높은편. 보통 레드에선 당도를 싫어하지만 다른 요소들의 힘과 조화로 크게 거슬리지 않고 맛나다. 더블디캔팅으로 복합미까지 깨우진 못했으니, 힘있는 미드팔라트로 보아 4,5년 뒤에나 기대해야할 듯. 2011/9


2007 Almaviva, Chile
기본 베리향과 더불어 솔향기로 시작. 신선한 산미. 부드러우면서도 입안에 존재감을 드러내는 탄닌. 칠레 특유 볶은 베리향은 숨길수 없다. 2011/10


2006 Almaviva, Chile
3시간 병브리딩하고도 한참을 기다려서야 베리, 박하향 등으로 피아나기 시작. 시간이 모자라 급히 마신게 죄. 2011/4